반응형

자기계발 44

2월 미라클 모닝 챌린지 6일차 | 당신은 개인입니까?

어린 시절 개인주의는 꽤나 나쁜 말처럼 들렸어. 하지만 캐나다에서 학교를 다니다 보니 '내 과자'를 모두가 나눠먹는 일은 없더라고. 다들 허락 하에 한 두 개 먹지, 그걸 펼쳐놓고 먹는 일은 없었어. 서로가 '개인'을 인정하고, 개인의 소지품을 침범하지 않는 문화였거든. 그런데 김미경 학장님은 '개인'의 길을 걷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어. 우리는 커서 누군가의 아내가 되고, 엄마가 되면서 '개인'을 잃을 때가 있잖아. 그래서 '개인'이 되자는 이야기. '꿈'을 갖고, 나를 잃지 않기. 나답게 만들기.

자기계발 2022.02.06

2월 514 미라클 모닝 챌린지 5일차 | 커뮤니티와 브랜드, 웹 3.0 시대의 최고의 가치

커뮤니티와 브랜드는 웹 3.0 시대의 최고의 가치래. 커뮤니티는 '경험으로부터 꾸준히 배우고 그걸 통해 내 브랜드를 형성'하는 건데, 커뮤니티에 참여한다는 건 살아있는 경험적 공부가 되는 거야. 생각해봐. 우리의 514 미라클 모닝 챌린지, 즉 짹짹이 월드는 생성된 지 한 달도 안된 브랜드야. 하지만 우리는 함께 짹짹이 월드를 만들어 나가고 있어. 그리고 커뮤니티는 함께 한 일은 곧 내 일이 돼. 1.3만 명이 모인 업적도 개개인이 이뤄낸 내 업적이 되는 셈이지. 그렇기에 커뮤니티에서 가치를 만든 사람도 중요하겠지만, 그 가치를 알아보는 사람은 더 중요한 거야. 우리는 가치도 만들고, 가치도 알아보고 있어. 그렇기에 난 커뮤니티에서 경험으로 꾸준히 공부하고, 그 안에서 스스로의 브랜딩을 실천해보려고 해...

자기계발 2022.02.05

2월 514 미라클 모닝 챌린지 4일차 | '호기심이 자산이다'를 듣고...

호기심은 자산이야. 호기심을 가진 자만이 끝을 볼 수 있기 때문이지. 사실 514 미라클 모닝 챌린지를 하는 사람들은 어떤 결과를 맞이할지 아무도 몰라. 하지만 '내가 14일간 새벽 5시에 일어난다면 얼마나 발전할 수 있을까'에 대한 호기심을 가진 사람들이잖아. 그러니 호기심은 매일 아침 새벽 5시에 일어나는 1만여 명이 이 챌린지를 완수할 수 있게 이끌어줄 거라고 믿어. 다들 본인의 가능성에 대해 호기심을 갖고 스스로가 얼마나 발전할 수 있는지(=자산)도 경험해보려고 하는 거니까. 사실 난 1월에 비해 의욕은 낮아지고 낮잠이 많아졌어. 하지만 내 미래는 내가 개척하는 거잖아. 난 내 미래의 밝은 버전이 어떤 모습일지 참 궁금해. 그러니 낮잠을 자지 않기 위해서라도 재택 기간에 출근을 할까 고민 중이야...

자기계발 2022.02.04

2월 514 미라클 모닝 챌린지 3일차 | 부러움을 기회로 삼는 세 가지 방법

※ 본 내용은 2022년 2월 3일 MKYU 김미경 학장님의 514 미라클 모닝 챌린지 3일 차 강의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2월 514 미라클 모닝 챌린지 3일 차의 아침이 밝았어. 1월에도 김미경 학장께서 '생각 조망권'에 대해 말씀해주셨는데... 매일 아침 미라클 모닝 챌린지를 수행하다 보면 이 경험이 켜켜이 쌓이면서 보이는 게 달라진대. 새벽에 일어나는 게 별 일 아닌 것 같지. 하지만 매일 아침 일어나면서 내 몸을 움직이면 세상의 판도가 바뀐다고. 그리고 세상의 판도가 바뀌려면 내 몸이 신문이 되어야 돼. 내 몸이 달라졌다는 사실을 발행하는 게 미라클 모닝 챌린지에 참여하는 거고. 이게 14일간 반복되면 터닝포인트가 돼. 우리는 14번이나 인생의 방향을 트는 연습을 하는 거야. 제자리로 갈..

자기계발 2022.02.03

2월 514 미라클 모닝 챌린지 2일차 | 나이들어 공부하기 & 필드형 전문가로 성공하는 방법

나이 먹고 공부하기 어렵다고 느끼는 사람 있어? 그게 다 '옛날 공부'를 하려고 하니까 그런 거래. 시험을 보기 위한 공부. 정식으로 공부하겠답시고 대학을 가서 정석으로 배우는 거 말이야. 그런데 김미경 학장은 옛날 공부 말고 우리 인생을 정식으로 대해보라고 하더라고. 내 꿈조차 정식으로 대할 생각을 안 하는데 뭔갈 정식으로 공부하면 된다고 생각하기 쉬워. 그런데 내 꿈을 정식으로 대해봐. '매일 블로그 글 쓰기'가 꿈이라면, 00시까지 글 작성 완료라는 허들을 만들고, 나를 쫄리게 만들어봐. 어쩔 수 없는 상황으로 만드는 거지. 그렇게 현실감 있는 공부를 해봐. 그게 진짜니까. 학위보다는 뭘 할 줄 아느냐가 중요해. 물론 박사, 석사가 필요한 분야는 있을 수 있어. 하지만 그 분야에서는 그렇게 공부하는..

자기계발 2022.02.02

2월 514 미라클모닝 챌린지 1일차 | '끼어들기'의 미학

오늘은 며칠일까? 달력상으로 오늘은 2월 1일이었어. 바로 설날이지. 그런데 오늘이 2월 1일이라는 근거는 어디 있을까? 태초부터 '달력'이라는 건 존재하지 않았잖아. 밤낮이 반복되고 계절이 바뀌니 인간은 '주기'를 만든 거지. 우리가 편하자고 만든 거야. 2월 1일도 마찬가지야. 인간이 인위적으로 만든 거야. 하지만 우리는 1월 1일이라는 날짜에 큰 의의를 두더라고. 그렇지 않아? 정말 많은 사람들이 다이어트, 금연, 공부, 자격증 같이 미뤄왔던 결심을 하게 돼. 나도 결심한 것들이 정말 많았어. 그런데 이걸 점점 미루기 시작해. 처음엔 내일로, 그다음엔 다음 주로, 그다음엔 다음 달, 다음 달, 다다음달.... 결국 다음 1월 1일까지 미뤄. 매번 똑같은 1월 1일이 시작돼. 그렇다면 1월 1일이 문..

자기계발 2022.02.01

2월 514 미라클모닝 챌린지 1일차 | '끼어들기'의 미학

오늘은 며칠일까? 달력상으로 오늘은 2월 1일이었어. 바로 설날이지. 그런데 오늘이 2월 1일이라는 근거는 어디 있을까? 태초부터 '달력'이라는 건 존재하지 않았잖아. 밤낮이 반복되고 계절이 바뀌니 인간은 '주기'를 만든 거지. 우리가 편하자고 만든 거야. 2월 1일도 마찬가지야. 인간이 인위적으로 만든 거야. 하지만 우리는 1월 1일이라는 날짜에 큰 의의를 두더라고. 그렇지 않아? 정말 많은 사람들이 다이어트, 금연, 공부, 자격증 같이 미뤄왔던 결심을 하게 돼. 나도 결심한 것들이 정말 많았어. 그런데 이걸 점점 미루기 시작해. 처음엔 내일로, 그다음엔 다음 주로, 그다음엔 다음 달, 다음 달, 다다음달.... 결국 다음 1월 1일까지 미뤄. 매번 똑같은 1월 1일이 시작돼. 그렇다면 1월 1일이 문..

자기계발 2022.02.01

미라클 모닝 14일 차 | 146만 유튜버 김미경 학장이 알려는 <짹짹이의 비밀>

2022년 1월 14일 미라클 모닝 챌린지 14일 차. 드디어 14일의 미라클 모닝의 챌린지가 끝났어! 이 챌린지를 이끌어주신 김미경 학장님과 함께해 준 1만 명의 모닝 짹짹이들께 감사해. 오늘 주제는 인데, 학장님은 먼저 본인의 이야기를 해주셨어. 학장님은 29살에 피아노 학원을 운영했는데 새벽부터 출근하면서 학생 수가 크게 늘어났대. 그리고 그 경험을 우리에게 전파해 주고 계신 덕에 2022년 1만 명이 넘는 모닝 짹짹이들이 14일간의 기적을 이뤄낸 거야. 14일 차 주제는 1. 마음만 외로운 것이 아니라 몸도 외롭다 사람이 외로울 때면 마음도 몸도 외로워져. 그러다 보면 면역체계가 무너지고 잔병에 걸리지. 그러니 인간에겐 '소속감'이라는 게 중요해. 일본에서는 70대 이상의 범죄율이 높아지고 있대...

자기계발 2022.01.14

미라클 모닝 13일차 | 146만 유튜버 김미경 학장의 '끝까지 해내는 힘' 요약

2022년 1월 13일 미라클 모닝 챌린지 13일 차. 학장님께서 '끝까지 해내는 힘'에 대해 말해주셨는데, 1. 물독이 찰 때까지 벌어라 / 2. 노동 소득이 창출하는 기회다 / 3. 돈 못 버는 사람들 유형 3가지 이 세 가지가 키포인트였어. 끈기가 있으려면 뭘 해야 할까? 바로 작게 이기는 연습이 필요해. 큰 목표 때문에 자꾸 지는 건 좋은 경험이 아니야. 끊임없이 꿈이 상처가 되어버리면 어떡하겠어. 그러니 우리는 이기는 사람, 해내는 사람이 되도록 작지만 꾸준하게 이겨내도록 하자. 끈기를 가지고 살아가다 보면 이게 '돈'이라는 결과로 나타나게 된대. 그렇게 된다면 나도 13일간 끈기를 공부한 거고, 돈을 버는 방법을 공부한 거겠지. 1. 물독이 찰 때까지 벌어라 우리가 돈을 벌기 시작하고 인프라를..

자기계발 2022.01.13